안녕하세요.
취업이 처음인 사람들을 위한 가이드, JOBPREP입니다.
자기소개서를 잘 작성해 합격률을 높이고, 자기소개서를 읽는 사람도 배려하기 위해선 소재가 되는 '나의 경험'부터 잘 분석해야 합니다.
여러 방법이 있지만 가장 쉬운 STAR기법을 소개해보겠습니다.
STAR기법으로 경험을 분석해 이를 기반으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면, 면접으로도 이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정답은 아니기에 하나의 방법으로 참고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 STAR 기법?
STAR기법은 특정 콘텐츠에 대한 구조적 분석 기법으로, 상황(Situation), 과제(Task), 행동(Action), 결과(Result)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쓰기엔 조금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Result - Situation - Task - Action - Insight 순으로 하나의 경험을 분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분석을 하고, 그대로 글을 작성하면 자기소개서가 됩니다.
2. Result - 경험을 통한 성과
경험을 통해 얻은 성과부터 정리해 놓습니다. 정리할 때는 수치로 측정할 수 있는 부분은 명확히 나타내는 것이 좋습니다.
EX) 매장 DP 개선을 통한 매추 20%개선
하지만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성과가 아닌 경우(ex) 수상 경력, 높은 학점 등), 그 특정 성과를 제시해주시면 좋습니다.
EX) 건강 분야 앱 기획을 통한 대상 수상
자소서에 기재할 경험 소재는 대략 성과가 있는 5개 경험으로 준비해주시면 좋습니다. 성과가 대단한 것은 아니고 아르바이트, 수상 등등 나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보시면 엣지가 반드시 있으니 고민해보셔야 하는 부분입니다.
만약 아직 성과가 있는 경험이 부족하다고 해도, 어떤 수업을 들으면서 또는 특정 경험을 하면서 노력하고 배운 점을 기재해 주시면 됩니다.(실제 이렇게 서류 합격한 케이스를 꽤나 봤습니다)
3. Situation - 문제 상황
자소서에서 가장 지양해야 할 것은 경험의 나열입니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역량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주기 가장 좋은 소재가 '문제 해결 과정' 이기 때문에 문제 상황에 대해 정리해주시면 좋습니다.
특히 이 문제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명확히 파악하고 계시면 더 효과적입니다.
구체적으로, 문제를 도출, 인식하기까지의 과정도 정리해주시면 효율적입니다.
4. Task, Action - 해결 방법
문제 상황을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해결했는지 분석해주시면 좋습니다.
Situation에서 정의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고, 어떤 방법을 썼는지 정리해주셔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왜 그렇게 해결하려고 했는지에 대해서도 나의 생각을 정리해주시면 효과적입니다.
5. Insight - 배운 점
문제를 해결하면서 획득한 역량과 배운 점을 정리해주시면 좋습니다.
경험 분석은 최대한 구체적으로 분석해놓아야 자기소개서에 구조적으로 작성하기가 용이합니다. 또한 각 문항마다 글자 수가 다르기도 해서, 명확히 정리해 놓아야 채용 시즌이 다가왔을 때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 편엔 실제로 경험 분석한 예시를 공유하며 팁을 적어보겠습니다.
원하시는 바 이루시고,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JOBPREP이었습니다.
''합격'하는 자소서 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격하는 자소서 쓰기 EP5. ] 필승 자소서 쓰는법, '소제목'(feat.실제 예시) (2) | 2025.01.14 |
---|---|
[합격하는 자소서 쓰기 EP4. ] 합격 자소서 작성의 본질은 '글 쓰기' (0) | 2025.01.13 |
[합격하는 자소서 쓰기 EP3. ] 예시와 함께보는 지원동기 작성법 (3) | 2025.01.07 |
[합격하는 자소서 쓰기 EP2. ] 신입 지원 자유 양식 자소서 문항 구성 (1) | 2025.01.07 |